산후우울증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출산 후 산후우울감을 겪는 산모는 52.6%로 산모의 절반 이상이 차지하며 출산 후 일주일간 산후우울증을 겪는 위험군 비율인 42%로 나타났습니다. 그만큼 출산 후 산후우울증을 겪는 산모들이 많습니다. 그럼, 산후우울증의 원인과 증상, 관리방법에 대해 한번 알아봅시다.
산후우울증이란?
산후우울증(PPD)은 아기를 낳은 후 일부 여성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우울증의 유형으로 감정, 수면 및 식습관의 변화, 무기력, 불안 및 과민증상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출산 4~6주 이내 발생하지만 몇 개월 지난 후에도 발생하기도 합니다.
산후 우울증 원인
산후우울증에는 여러 요인들이 있지만 정확한 원인은 아직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전문가들이 말하는 산후우울증의 원인은 대체로 임신 후 신체적 변화, 아기에 대한 과도한 걱정과 자녀에 대한 책임감 발생, 어려운 노동과 출산, 가족들의 지원부, 재정적 어려움, 외로움, 호르몬의 변화, 출산으로 인한 신체 건강 변화, 수면주기 변화등을 꼽고 있습니다.
산후 우울증 증상
산후우울증 증상에는 압도되고 갇힌 느낌의 부정적 감정과, 무기력, 슬픈느낌, 죄책감, 두통, 복통, 식욕부진, 성욕상실, 공황발작, 지속적인 피감, 집중력저하, 수면문제, 아기에 대한 이유 모를 무관심, 지인들과 연락을 유지하려는 욕구부족등이 있습니다. 산후우울증 증상은 산후 10일 이후부터 1녀까지 지속될 수 있으며 치료를 받지 않으면 우울증이 더욱 악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산후 우울증은 아이 성장발달에도 나쁜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산후우울증 관리방법
자신의 우울한 감정을 가족이나 주변 사람에게 솔직하게 표현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규칙적인 생활을 하며 친한 사람들과 많은 대화를 통해 스트레스를 풀고 운동이나 취미활동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무엇보다도 가족들이 함께 육아나 가사노동에 적극 참여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출산 후 여성들이 산후우울증을 겪지 않게 주변 가족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적극적인 도움이 필요합니다.
산후우울증 치료
산후우울증 시기는 수유기간과 겹칠 경우 약물치료는 권장되지 않으며 양육과 일상생활에 문제가 생길 정도의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약물치료와 상담을 받아야 합니다.
'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한 유치관리 (아기 치아관리) (0) | 2023.05.02 |
---|---|
월령별 수면시간 (0) | 2023.04.20 |
아데노바이러스 (증상, 치료, 원인, 예방법 등) (0) | 2023.04.18 |
생후 7개월 아기 발달, 생후 8개월 아기 발달 알아보기 (0) | 2023.04.17 |
어린이날 선물 추천 (0) | 2023.04.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