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임신 출산 혜택 살펴보기
임신바우처
임신확인서를 받으면 국민행복카드 바우처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단태아 100만 원, 다태아 140만 원으로 사용기간은 최대 2년이며 병원이나 약국 등의 비용으로 사용가능합니다. 또한 국민행복카드로 바우처를 서비스받기 위해선 국민행복카드를 먼저 발급받고 바우처 신청을 별도로 해야 합니다.
보건소 철분 및 산전검사 혜택
보건소에서 산전검사, 기형아검를 비롯해 철분제, 엽산제 등 받을 수 있습니다.
첫 만남이용권
첫 만남이용권은 2022년 1월 1일 이후 출생아부터 출생아당 200만 원의 바우처가 지급됩니다. 신청은 주민센터에서 직접 신청하거나 정부 24 온라인으로 신청 가능합니다. 이는 출산 후 1년까지 온오프라인에서 사용 가능하며 국민행복카드 바우처 형태로 지원됩니다. 유흥주점, 면세점, 상품권을 제외한 전국에서 사용가능합니다. 주로 산후조리원비나 육아용품을 장만하는 데 사용합니다.
부모급여
부모급여는23년 기준으로 0세는 70만 원 1세는 35만 원 받으며 24년에는 0세 100만 원 1세 50만 원을 현금으로 받게 됩니다. 다만, 어린이집 보육료와 중복지원되지 않기 때문에 어린이집을 다닐 경우 보육료를 제외한 금액이 입금됩니다.
아동수당
만 8세 미만의 아동들에게는 월 10만 원씩 현금으로 지원되는 제도입니다. 아동수당은 어린이집을 다녀도 중복지원이 됩니다.
전기세 할인
출생일로부터3년 미만 영아가 1인 포함된 가구, 자녀 3인이상(다자녀) 가구, 5인이상 가구 중 하나라도 해당한다면 전기세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주택용 요금 월 30%(16000원 한도)로 감액받으며 국번 없이 123으로 문의하여 신청하면 됩니다.
임산부 친환경농산물 꾸러미
22년 1월 1일 이후 출산한 산모 또는 신청일 현재 임산부를 대상으로 자부담 20%만 납부하고 총 48만 원의 친환경 농산물을 배송받을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2023년에는 지자체 예산에 따라 일부지역 (경기도, 김천)에서만 추진되고 있으며 추첨되로 진행된다고 합니다.
지역별 출산장려금
각 지자체마다 출산할 때 주는 장려금으로 지역마다 금액이 상이하여 지자체별 확인이 필요하니 임신육아종합포털 아이사랑을 통해 지역명을 검색 후 알아보시길 바랍니다.
서울시의 경우 임산부 교통비 지원
서울시에서는 임산부 교통비를 70만 원 지원해주고 있습니다. 서울시 거주 6개월 이상이며 임신 12주 차부터 온오프라인으로 지원가능하며 지원금액은 본인명의의 신용(체크) 카드 포인트로 지급됩니다.
'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기 알레르기 테스트 (계란, 밀가루, 땅콩 알러지 테스트) 주의사항 (0) | 2023.05.30 |
---|---|
초기, 중기이유식 - 소고기 큐브만들기, 소고기 육수만들기 (0) | 2023.05.10 |
용인 장난감도서관 대여방법! (0) | 2023.05.08 |
아기물먹는시기! 언제부터? 얼마나? 물섭취량? 보리차는 언제가능? (0) | 2023.05.06 |
건강한 유치관리 (아기 치아관리) (0) | 2023.05.02 |
댓글